정부에서 추진 중인 GTX(수도권 광역 급행철도)-A·B ·C 노선을 개통하여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를 열거라는 내용으로 보도되었습니다. 또한 GTX-D ·E ·F 노선을 추진하는 내용으로 포문을 열었습니다.
GTX-D ·E ·F 노선은 구체적으로 국비 30조 원과 지방비 13조 6천억 원, 민간 75조 2천억 원, 신도시 조성원가 반영 9조 2천억 원, 공공기관 5조 6천억 원 등입니다. 이렇게 GTX 2기 사업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TX와 관련된 내용을 작성하겠습니다.
#GTX -D ·E ·F 노선 알아보기
GTX 개요
GTX는 서울로 출퇴근 인구가 늘어나면서 Door to Door, 즉 집에서 나와 직장에 도착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GTX 사업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GTX의 G는 경기도가 사업을 구상하여 Gyeonggi의 G를 사용하였고, TX의 뜻은 Train eXpress의 약어를 사용하여, GTX의 용어가 발표되었습니다.
GTX는 도심 구간에서 지하 40m 이하까지 깊이 파고들어 가 노선을 짓는 방식으로 건설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GTX-D ·E ·F 노선의 예산안은 계획보다 많이 들것으로 예상됩니다.
GTX A · B · C 운행 시기
GTX노선의 연장안도 추진되며, A 노선은 평택까지, B 노선은 춘천까지, C 노선은 아산까지 추진될 예정입니다.
- GTX A : 올해 삼성역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이 개통될 예정입니다.(28년까지 전 노선 개통)
- GTX B : 2030년 인천대입구역에서 마석 구간이 개통될 예정입니다.
- GTX C : 2028년 덕정에서 수원 구간이 개통될 예정입니다.(28년까지 개통을 목표)
GTX 운임
GTX A 노선의 기본요금은(10km 이내) 3,200(기본운임 1,550원이고+별도운임 1,650), 추가요금(5km당) 250(기본운임 100원+별도운임 150원) 원입니다.
GTX D · E · F노선은 약 130조 원이 투입되면 민간 자본이 50%가 넘게 투입됩니다. 현재 운행하고 있는 민간 지하철인 분당선이 일반 노선에 비하여 비싼 운임을 적용하는 것으로 보아 GTX D · E · F 노선의 운임은 A 노선의 운임보다 비쌀 것으로 예상됩니다.
GTX 속도
GTX A의 속도는 비슷하게 역할을 하는 쓰쿠바 익스프레스의 속도와 비슷하게 105km/h, B노선은 94 km/hC노선 91.7 km/h로 A노선에 비하여 속도가 낮은 것으로 예상됩니다.
GTX D · E · F 탄생 배경
GTX A ·B ·C 노선은 수도권 근접에서 운영하여 짧은 운행거리에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고자 광역철도 지정기준 반경을 50km 또는 시종점 ~ 시내 중심지 소용시간을 60분으로 개선하자는 방안이 나왔고, 춘천역, 천안역 등 연장 안이 나온 것입니다.
GTX D · E · F 노선 안
- GTX D : 인천공항, 김포 장기에서 시작되어 부천 대장동에서 합쳐져 삼성을 지나 원주 종점
- GTX E : 인천공항에서 대장을 거쳐 연신내와 덕소까지 지나는 노선
- GTX F : 의정부와 고양 대곡을 지나 수원, 교산, 왕숙 2(지구) 현재 2호선 순환선이랑 비슷

마무리
GTX D · E · F노선은 약 130조 원의 조달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그중 50% 이상은 민간 자본이 투입되어야 합니다.
현재 고금리로 인해 건설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이며, 재건축, 재개발 또한 멈추어 있는곳도 많이 보이며, 2기 GTX 운영시 운임비 부담(지자체)도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GTX의 건설 방법은 지하 40m 이하까지 깊이 파고들어 환승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고,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가기까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GTX 노선은 정말 좋은 방안인 것은 틀림이 없습니다. 올해 GTX A 노선이 개통되어 사람들의 이용이 많으면, 나머지 노선도 명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명확한 가이드는 25년 이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정가제 폐지, 개선? - 누구에게 이득인가 (6) | 2024.02.08 |
---|---|
24년 탄소중립 실천포인트 제도 활용하기 (8) | 2024.02.07 |
결혼 장려금 지원받기 - 지방자치단체 신청 및 알아보기 (8) | 2024.02.05 |
대형마트 일요일 정상 영업 - 의무 휴업일 폐지 예정 (6) | 2024.02.04 |
보험사기 신고방법 - 포상금 최대 5000만원 (4) | 2024.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