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에게 주거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래 포스팅 내용을 잘 확인하시어 접수 바랍니다.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접수방법 공유
주거비 지원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무주택인 가구에게 집값이 부담스러운 부분에 대하여 월 30만 원씩 2년간 최대 720만 원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2025년 이후 출산한 가구로서, 부모의 소득과 상관없이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주택 소유별 자녀 유무
집값의 고공행진으로 서울 외곽으로 떠나는 가정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혼자 살거나 젊은 신혼부부들은 경기, 인천으로 매년 이주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지난해에만 약 20만 명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에 사는 신혼부부 중 무주택 비율이 64.9%로 나타났습니다. 이중 무주택 신혼부부의 절반 이상인 57.4%가 자녀가 없습니다. 서울에 내 집이 있는 신혼부부의 무자녀 비율 또한 46.3%로 집계되었습니다.
지원 내용
2025년부터 자녀를 출산하는 가정에게 무주택 조건이라면 소득기준과 나이 상관없이 출생하 1명당 매월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을 지원합니다.
접수방법
25년부터 해당 사이트가 열린 것으로 예상되며, 인터넷 검색 홈페이지에서 '몽땅 정보 만능키'로 접속하여 출산 육아정책, 탄생 응원 서울 프로젝트에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사전에 검색하여 홈페이지를 미리 보시기 권합니다.
예외 대상
서울에 소재한 전세가 7억 원 이하이거나 월세 268만 원 이하 임차여야만 하고, SH(서울 주택도시공사),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는 제외됩니다.
또한 서울에 거주하는 동안 무주택 가구이면서, 주택 구입이나 타 시도 전출 등은 제외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지원이 중단됩니다.
대상자 조건
- 출생아 출생신고 및 부, 모의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
- 출생(입양) 아는 부, 모의 주민등록상 같아야 함.
- 입양아는 출생일로부터 48개월 이하인 아동.
- 무주택자로 임차(전세, 월세)한 주택은 서울시에 소재되어야 함.
마무리
서울 집값이 높은 건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전세, 월세를 사시는 분이시라면 대출 이자 또는 가계 소비 지출이 많이 나간다는 사실 알고 계실 겁니다. 서울시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기에 임산부 산전 검사, 교통비 지원, 주거비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다양한 정부 지원 정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mphouse131
만능 창고 : 네이버 블로그
일상 생활 정보들을 전달하고, 많은 분들이 혜택을 보았으면 합니다. 카페에 가입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cafe.naver.com/mphouse131
blog.naver.com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나라, 당근마켓에서 비타민, 홍삼, 영양제 등 건강기능식품 재판매 가능할까? (95) | 2024.05.20 |
---|---|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 가능 위임장 제출방법 9월 30일부터 (59) | 2024.05.19 |
육아휴직제도 전반적인 사항 알아보기 - 신청 및 신고 방법 (43) | 2024.05.16 |
모성보호제도 단축 시간, 혜택, 급여 알아보기 - 24년도 기준 (40) | 2024.05.14 |
스팸 번호 조회, 검색, 신고 방법 - 24년 신규 업데이트 (29) | 202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