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그린워싱 알아보기

by 만능 창고 2024. 2. 9.

많은 사람들이 지나가다가 혹은 무심코 여러 기업들의 광고를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해당 광고를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셨나요? 친환경 제품이라고 광고에서 홍보를 하였지만 실제적으로 친환경 제품인지 생각은 해보셨나요?

실제로 친환경적이지 않은 제품을 생산하고 광고하는 행위에 대하여 알려드리고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린워싱에 대하여 작성하겠습니다.

 

# 그린워싱 알아보기

그린워싱이란

기업들이 환경에 영향이 없는 제품을 생산하면서 광고 및 홍보용으로 친환경 이미지를 내세워 대중들에게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각인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환경에 관한 대중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친환경 제품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기업들이 친환경 제품으로 홍보하는 현상입니다.

 

관련법률현재 한국에서는 '표시광고법'이 있으며, 해당 내용은 표시광고는 '사실과 다르게 표시·광고하거나 사실을 지나치게 부풀려 표시 광고하는 행위' 말합니다. 또한 기만적인 표시광고는 사실을 은폐하거나 축소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시·광고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또한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과 시행령을 통하여 그린워싱을 '제품의 환경성과 관련하여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할 우려가 있는 행위'로 정의하고 규제하고 있습니다.

 

유럽 위원회(EC)에서는 친환경적인 소비를 촉진하고 제품의 그린워싱을 억제하기 위해 유럽연합 소비자 보호법 일부 개정안을 그린딜 패키지에 묶어 발의하였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환경 광고, 재활용 기호, 재활용 가능성, 제품 및 포장 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영국의 규제 당국에서는 22년부터 기업의 그린워싱을 강력하게 단속하겠다고 예고하였습니다.

 

그린워싱 기준

그린워싱은 친환경 컨설팅(캐나다) 기업 테라초이스에서 7가지 죄악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습니다.

  • 상충 효과 감추기 : 친환경적인 특징 속성만 강조하면서 전반적인 환경 파괴에 대한 영향은 감추는 행위
  • 증거 불충분 : 라벨, 제품 정보에서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는 증거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않으면서, 근거 없이 친환경이라고 중장 하는 행위
  • 애매모호한 주장 : 광범위하거나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용어 사용
  • 관련성 없는 주장 : 친환경과 무관한데 용기가 재활용된다는 등의 이유로 친환경 제품이라고 표기하는 행위
  • 유해상품 정당화 : 환경적이지 않지만 다른 제품보다 환경적일 때 친환경이라고 주장하는 행위
  • 거짓말 : 거짓을 광고하는 행위
  • 부적절한 인증 라벨 : 허위 인증 라벨을 사용하여 인증받은 상품처럼 위장하는 행위

그린워싱 사례

스타벅스의 그린워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스타벅스가 출시한 밀크 티 보틀이 일회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밀크 티 보틀을 다회용으로 사용하려고 구매하였지 페트(PET) 재질로 만들어져 그린워싱에 위반된다고 밝혔습니다.

 

마무리

이 글을 작성하면서, 일상생활 속 무심코 사용해 온 많은 제품들이 그린워싱에 해당된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한창 논란이 된 커피숍에서 사용한 빨대도 그린워싱에 해당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으며, 화장품의 용기 겉면에도 플라스틱이 사용된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사용해 온 제품들을 한번 유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