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아동학대 신고방법 사례, 처벌, 교육 알아보기

by 만능 창고 2024. 4. 27.

아동학대를 당하는아이들 보신적이 있나요? 아마 잘 없으실 겁니다. 그러나 뉴스에서는 가끔식 보도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아동학대는 폭력만 생각하지만, 아이에게 무심코 한 나의 말과 행동이 아이에게는 큰 상처로 남을 수가 있습니다. 

'훈육' 이라는 이유로 사소한 실수를 하고 있는건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동학대 신고방법에 대하여 작성하겠습니다.

더보기

아동학대 신고방법 사례, 처벌, 교육 알아보기

아동학대란

'아동'은 18세 미만을 의미하며, '아동복지법 제3조 제7항'에 의거하여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 ·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동학대 사례
  • 장난감을 자주 던지는 아이의 손등을 자로 때린 행위는 사랑의 매라는 합리화된 체별은 신체적 학대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 음식을 먹지 않은 아이에게 아이 혼자 집에 두고 부모님들은 집 밖으로 나가겠다고 하니 아이가 밥을 먹는 행위는 고함이나 호통, 협박하는 말에 대하여 정서적 학대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아이에게 컴퓨터를 사용하게 했는데, 성인광고가 나온 행위는 성적학대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아이를 혼자 놀이터에다 두고 마트에 다녀오는 행위는 위험한 상황에 노출시키는 행동으로 방임·유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아동학대 처벌

아동학대는 '아동복지법 제17조 및 제71조'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은 행위에 대하여 처벌을 받게 됩니다.

아동학대 처벌을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아동학대 처벌

 

신고방법

아동학대를 목격한 모든 사람은 시군구 긴급전화(112) 또는 수사기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아동학대를 보고도 무시하는 경우에는 1000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 됩니다.

  • 1단계 : 아동학대 의심 및 발견
  • 2단계: 아동학대 신고(112)
  • 3단계 : 아동학대보호전문기관 협력 유

 

아동학대 교육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와 공공부문 종사자는 아동학대 예방 교육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아래 절차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과거에는 자녀양육에 대하여 어머님들의 몫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부부 중심 및 맞벌이 가족 형태로 보편화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전 보다 아동학대에 대한 사항이 넓어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아동학대 신고방법를 확인하시어 주위에서 아동학대가 의심이 되면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