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안심동행서비스를 알고 계신가요?
혼자 사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가족과 떨어져 지내거나 어쩔 수 없이 혼자 지내는 분들에게 좋은 제도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서울시 병원 안심 동행 서비스, 요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 병원 안심 동행 서비스, 요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 - 24년도 기준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란?
부모님과 떨어져서 살 때 또는 혼자 거동이 불편하고, 외부로 나가기 힘들 때 등 시민들이 아파서 병원 동행이 필요한 경우,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집에서 병원으로 출발할 때부터 집으로 돌아오기까지 동행자가 보호자처럼 동행하여 병원 이용 중 접수, 수납, 약국 동행 등 지원합니다. 단 서울시 소재 병원에 한하여, 버스나 지하철 또는 택시 등 대중교통으로만 동행(자차는 제외) 가능합니다.
지원 요건
거동이 불편하거나 병원 이용에 동행이 필요한 서울 시민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집안까지는 들어오지 않고, 집 밖에서부터 서비스를 제공함이 원칙입니다.
비용
비용은 요청한 장소에 동행매니저가 도착한 시간부터 요금이 산정되며, 시간당 5,000원이며, 30분 초과 시 2,500원 추가됩니다.
★ 중위소득 100% 이하라면, 24년 1월 1일부터 연간 48회 무료 이용 가능하며, 49회부터는 유료로 전환됩니다.
이용 시간 및 신청 방법
평일 이용 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이용가능하며, 주말에는 사전 예약하시는 분에 한하여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콜센터(1533-1179)로 전화하여 신청하거나, 온라인(서울 1인가구 포털)으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차량은 별도로 제공되지 않고, 교통비는 이용자가 부담되며, 응급실은 법적보호자 서명 등의 필요하시 서비스가 제한됨.
필요시 예약 방법과 제출 자료
예약 방법
사전 예약은 1주일 전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동행이 필요한 당일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당일 신청 건의 경우 접수 후 3시간 이내 요청한 장소에 도착을 하며, 상시대기인력이 모두 출동하여 대기 인원이 없을 시 서비스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제출 자료
수급자 증명서, 차상위 증명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신청을 하기 전 서류를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부모님과 떨어져서 사시는 분이나 거동이 불편하시는 분들이 이용을 하시면 좋은 서비스인 거 같습니다. 각 지자체별로 안심동행 서비스가 있으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시 병원 안심 동행 서비스, 요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혜택이 좀 더 많아지면 시민들의 생활이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병원 안심 동행 서비스, 요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 - 24년도 기준 (6) | 2024.02.16 |
---|---|
인천시 병원 안심 동행 서비스, 요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 - 24년도 기준 (2) | 2024.02.15 |
서울시 다자녀 혜택, 기준, 카드 신청 방법 - 24년도 혜택 알아보기 (4) | 2024.02.13 |
인천시 다자녀 혜택, 기준, 카드 신청 방법 - 24년도 기준 총 정리 (2) | 2024.02.12 |
경기도 다자녀 혜택, 기준, 카드 신청 방법 - 24년도 기준 총 정리 (8) | 2024.02.11 |